본문 바로가기
러키한 시사용어

시사용어 - 소셜 굿즈(Social Goods)란?

by woolucky(우럭이) 2025. 5. 27.
반응형

소셜 굿즈는 사회적 가치를 담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말합니다. 단순히 상품을 사고파는 행위를 넘어, 소비 자체가 사회적 문제 해결이나 공익 실현에 기여하는 형태입니다. 예를 들어 제품 하나를 구매하면 일정 금액이 기부되거나, 환경 보호를 위한 친환경 재료로 만들어지는 제품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착한 소비", **"윤리적 소비"**라는 말과도 연결되며, 소비자가 자신의 소비를 통해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최근 몇 년 사이 MZ세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입니다.

소셜 굿즈


소셜 굿즈의 대표적인 유형

  1. 기부형 상품
    • 판매 수익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회 단체나 재단에 기부
    • 예: 티셔츠 하나 구매 시 어린이 교육을 지원
  2. 친환경 제품
    • 플라스틱 최소화, 재활용 소재 사용 등 환경을 고려한 상품
    • 예: 업사이클링 가방, 대나무 칫솔
  3. 공정 무역 상품
    • 생산자에게 정당한 대가를 지급하여 생산자의 삶의 질을 보장
    • 예: 공정 무역 커피, 초콜릿
  4. 장애인 및 사회적 약자와 협업
    • 장애인, 취약계층과 함께 만든 제품이나 그들이 직접 제작한 상품
    • 예: 발달장애인 아티스트의 그림을 활용한 굿즈

왜 소셜 굿즈가 주목받는가?

  • 가치 소비 확산: 단순히 "싸고 좋은" 상품보다 "가치 있는" 소비를 원하는 트렌드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 SNS 공유 문화: 착한 소비 경험을 자랑하고 공유하고 싶은 욕구가 SNS 문화와 맞물려 확산
  • 브랜드 이미지 향상: 기업 입장에서도 사회적 책임을 다함으로써 브랜드 충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소셜 굿즈 예시 브랜드

  • Heyground: 다양한 사회적 기업 브랜드들의 굿즈를 큐레이션
  • 오르빗 캠페인: 지구 보호를 위한 일회용품 줄이기 굿즈
  • 티브릿지: 시각장애인과 협업한 향기 굿즈

구매 시 체크포인트

  • 진짜인가? – 보여주기식 CSR이 아닌지, 실제로 기부 내역이나 환경 기여가 투명한지 확인
  • 지속 가능성 – 일회성 캠페인이 아닌 장기적인 프로젝트인지 살펴보세요.
  • 소비자 참여 – 제품 사용뿐 아니라 체험과 피드백이 가능한 경우도 많습니다.

마무리

소셜 굿즈는 단순한 '상품'이 아닌, 나와 사회를 잇는 작은 연결고리입니다. 우리가 선택하는 소비 하나하나가 세상을 조금씩 더 좋은 방향으로 바꿀 수 있어요. 트렌디하고 의미 있는 소비를 원한다면, 오늘 하나의 소셜 굿즈로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요?

반응형

'러키한 시사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시사용어 둠스펜딩  (1) 2025.07.02
라이팅힙(Writing Hip) 뭐야?  (2) 2025.05.13